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경찰공무원의 승진제도는 이렇습니다.
    경찰 2023. 8. 17. 23:35

    Q. 경찰관은 어떻게 승진하나요?

    A. 통상적으로 승진 후에는 업무에 대한 책임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보다 높은 위신이 생기고 동시에 지위도 향유할 수 있는 위치도 지니게 되는데요. 경찰관의 승진은 경찰공무원 승진 임용규정 제3조에 따라 다음 4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 심사 승진

    2. 시험승진

    3. 특별승진

    4. 근속승진

     

    여기서 특이한 점은 1. 심사 승진에 의해 이루어지는 계급은 경무관까지라는 것입니다. 경찰 지휘관으로서의 행정공무원의 성경이 강한 치안감, 치안정감, 치안총감의 경우는 심사 승진에 의하지 않고 지명인사 승진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계급의 인사권자는 대통령입니다. 치안감부터는 경찰청 중앙 승진심사위원회가 구성되지 않고 지명인사 승진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가령 치안감을 뽑는 경우는 모든 경무관들이 지명 심사 대상자가 되어 대통령에게 대상 명부가 올라가고 그중에서 대통령이 필요한 대상자를 지명하게 됩니다.

     

    또한 치안정감을 뽑을 때에는 모든 치안감들이 대통령들로부터 지명 승진할 수 있는 대상자가 되는데요. 경정 이하 계급에서의 승진은 심사 승진 이외에 시험승진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병행하는 경우는 임용 비율에 있어서 계급별로 하되 승진 임용 예정인원수의 5할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찰 공무원의 승진에 있어서 승진소요 최 전 근무연수도 정해져 있는데요. 무엇보다 승진을 하기 위해서는 각계급에서 의무적으로 법에 정해놓은 최저 근무 연수를 재직하여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순경부터 경위는 1년이며 경감과 경정은 2년이고 총경은 3년 이상을 근무한 경우에 승진 기회가 주어집니다. 그러나 경찰관이 최저 근무연수에 달했다고 해서 무조건 승진의 기회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고 징계처분을 받을 경우 결격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찰 승진은 특별한 유공에 따른 특별승진과 근속승진을 최대한 고려하는 근속승진의 경우를 제외하고 순경과 경정까지는 시험승진과 심사 승진을 각각 50%의 비율로 기준해서 승진자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경찰공무원법 제16조(근속승진)

    -순경 → 경장 4년 이상

    -경장 → 경사 5년 이상

    -경사 → 경위 6년 6개월 이상

    -경위 → 경감 8년 이상

     

     

    이 개정령은 경찰 공무원이 살인, 강도, 조폭 등 중요범인 검거 유공, 인명·재산 구호 유공 등으로 특별승진하는 경우에 이전과는 달리 승진소요 최저연수 경과 나 기본 교육 이수 등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도 승진 임용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총 11계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찰 조직은 생각보다 승진을 하는 것이 그리 만만하지 않습니다. 14만 경찰관들이 경쟁을 해야 하기도 하고, 격무에 시달리며 시험공부를 하거나 열심히 범인을 잡았어도 운에 따라 그 공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저 역시 13년 경찰 생활 동안 무던히도 승진을 하려고 노력을 했습니다. 실적으로 전국 1등도 해보고, 시험을 봐서 만점도 맞아보고 참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매번 낙방이었습니다. 꼭 최종까지 가서 고배를 마시고 결국 근속승진을 했던 추억이 떠오르네요.

     

    제복을 입는 조직에서 승진을 향한 열망은 어쩔 수 없는 욕구인 것 같습니다. 때문에 저는 경찰관을 직업으로 삼으려고 하시는 분들에게 처음부터 가능한 높은 계급으로 시작하기를 추천드리는 것입니다. 그나마 높은 계급으로 시작하면 승진에 연연해 하지 않으며 소신껏 업무를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무엇보다 승진을 잘 하기 위해서 중요한 건 인사고과를 잘 받아야 하는데요. 그 내용은 다음 편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